우리나라의 소득 불균형 문제가 양호하다는 거짓말을 믿지 마세요!
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소득불균형(빈부 격차) 문제가 심각하다고 합니다.
개인 근로소득을 10개 계층으로 나누었을 때 최하위인 1분위(소득 하위 10%)와
9분위(소득 상위 10-20%) 간 소득 배율이 4.78배로 나타났는데, 이는 OECD 34개국
가운데 이스라엘(5.18배)과 미국(4.89배) 다음으로 3위를 차지했습니다.
이 숫자가 클수록 소득 불균형이 심각한 것을 의미합니다.
OECD 평균은 3.33배입니다.
1분위와 9분위간 소득 배율이 가장 낮은 나라는
벨기에(2.25배), 이탈리아(2.27배), 스웨덴과 노르웨이(2.28배) 등이었습니다.
아래 기사 참조:
http://www.munhwa.com/news/view.html?no=2012041601070224033002
우리나라 "부의 쏠림"이 OECD에서 미국 다음으로 높아
우리나라의 소득 상위 1%가 전체 소득의 16.6%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이는OECD에서 미국(17.7%) 다음으로 부의 쏠림이 심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
반면 일본은 9.2%, 호주는 8.8%로 우리나라보다 두 배나 더 낮았습니다.
우리나라의 지니계수는 0.315로 OECD 국가들의 평균 수준으로 알려져 있어서 그동안 한국의 소득 불평등은 중간 수준으로 평가되어 왔습니다. 하지만 조원동 조세연구원장은 이 지니계수 조사에서는 초부유층 표본이 빠져 있어서 한국의 소득 불평등이 과소평가되었다고 합니다.
여러분~ 소득 상위 1%되는거 어렵지 않아여~
연소득은 3억3728만원에 자산 총액은 22억 1352만원만 있으면 되요~
(우리나라 상위 1%의 평균 소득과 자산)
참조 기사:
http://joongang.joinsmsn.com/article/aid/2012/04/23/7598101.html?cloc=olink|article|default
우리 경제 대통령께서 어떤 해결책을 내놓으실지 자못 기대됩니다.
아니요. 전혀~ 대통령이나 새나라당에게 뭔가를 기대하는 국민이 한 사람이라도 있을까요?
총선에서도 승리했는데 뭐 더이상 무슨 신경을 쓰겠어요? 그죠?
총선용 화장이 얼마나 빨리 지워지는지 그 지우는 손이 보이지 않을 정도입니다.
'세계 속의 한국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선진국에서는 해양 안전을 어떻게 관리하는가 (0) | 2014.04.23 |
---|---|
대한민국의 부끄러운 리더들 (1) | 2014.04.21 |
세계 음반 시장 규모 TOP 10 - 한국 음악 시장 순위는? (7) | 2014.04.08 |
이해할 수 없는 한국만의 풍습 - 불합리한 한국식 나이 (2) | 2012.04.01 |
한국과 중국의 닮은 꼴 - 언론 자유 순위 87위와 89위 (0) | 2012.04.01 |
2011년 삶의 질 지수 (0) | 2011.12.03 |